티스토리 뷰

반응형

오늘은 2023년 청년지원정책 중에서 자산형성을 할 수 있는 지원정책에 대해서 간략하게 알아보겠습니다. 이미 진행 중인 정책도 있고 진행예정인 정책도 있으니 확인해 보세요.

1. 2023년 청년지원정책(자산형성)

< 자산형성 지원정책>

사업명 대상 및 지원내용 기간 신청방법(문의처)
청년도약계좌 19~34세 개인소득 및 가구소득 기준을 충족 하는 청년 대상 중장기 자산형성 지원 6월 출시 신청 방법 추후 발표
금융위원회 청년정책과
(02-2100-1686)
사회복귀준비금
'병 내일준비지원'과 동일사업
- (대상)
장병내일준비적금 가입 후 만기 해지한 병역의무이행자

- (지원내용)
적금 원리금의 연도별 매칭비율에 해당하는 금액 추가 지원 *원리금 : 은행금리 5% + 이자지원금 1% *매칭비율 : '22년 33%, '23년 71%
병역의무이행자의 전역(소집해제)으로 장병 내일 준비적금 만기 해지 시 사회복무포털, e-병무지갑 앱을 통해 ‘가입자격 확인서’ 발급 후 은행(14개)에 가입신청(국방부 병무청 02-3146- 6123~5)
청년내일저축계좌 - (대상)
* 가입연령 : 신청당시 19~34세 (단, 수급자·차상위자는 15~39세)
* 월 근로·사업소득이 50만원 초과~240만원 이하 (단, 수급자·차상위자는 월 10만원 이상 근로·사업소득 발생)
* 가구소득: 기준 중위소득 100% 이하
* 재산 : 대도시 3.5억원, 중소도시 2억원, 농어촌 1.7억원 이하

- (지원내용)
* 본인저축액(월 10만원 이상)+근로소득장려금 (정부지원금 10만원) (단, 수급자·차상위 청년은 정부지원금 30만원)
2022년 7월부터 신청 - 온라인신청 :
복지로(www.bokjiro.go.kr)

- 방문신청 :
거주지 읍면동 주민센터

- 문의처 :
보건복지상담 센터
(국번없이 129)
청년희망키움통장 <희망저축계좌Ⅰ>
- (대상)
일하는 생계·의료 수급가구 중 신청 당시 가구 전체의 근로·사업소득이 기준 중위소득 40%의 60% 이상인 가구
- (지원내용)
본인저축액(월 10만원 이상)+근로소득 장려금(정부지원금 30만원)

<희망저축계좌Ⅱ>
- (대상)
일하는 주거·교육 수급가구 및 차상위계층 가구(중위소득 50% 이하)
- (지원내용)
본인저축액(월 10만원 이상)+근로소득 장려금(정부지원금 10만원)
2022년 4월부터 신청 - 온라인신청 :
복지로(www.bokjiro.go.kr)

- 방문신청 :
거주지 읍면동 주민센터

- 문의처:
보건복지상담 센터
(국번없이 129)
청년재직자
내일채움공제플러스
* 청년근로자, 중소기업, 정부가 동일 비율로 공제금을 3년간 적립, 만기 시 1,800만원 을 청년근로자에게 지급

- (대상)기업
제조업 및 건설업을 영위하는 50인 미만 중소기업

- (대상) 청년
6개월 이상 재직 중인 연소득 3,600만원 이하 청년근로자 - (규모) 1만 5,000명, 예산 198억원
2023년 2월 중 시행 - 중소벤처기업 진흥공단 지역 본(지)부를 통해 공제가입

- 내일채움공제 누리집
(www.sbcplan.or.kr) 에서 공제계약 청약 신청

- 문의처:
내일 채움공제 고객 센터
(1588-6259)
청년내일채움공제(일반) - (지원대상)
* 청년 : 15세 이상 34세 이하의 신규 취업 청년
* 기업 : 5인 이상 50인 미만 제조업·건설업 종 중소기업

- (지원내용)
*청년·기업·정부의 3자 적립 방식으로 2년 후 만기공제금 1,200만원 청년 지급
*(적립구조) 청년 400만원+ 기업 400만원+ 정부 400만원
2023년 3월 ~
물량 소진 까지
- 워크넷 청년공 제 누리집 참여 신청(기업, 청년)

- 문의 : 1350 또는 지방관서 고용센터
청년우대형청약통장 - (지원대상)
19~34세로 연 3,600만원 이하의 소득이 있는 무주택세대주(세대주 예정자, 무주택 세대의 세대원 포함)

- (지원내용)
총 납입금액 5,000만원 한도 내에서 최 대 10년간 우대금리 1.5%p 적용, 이자소득 5백만원(연납입금 600만원)까지 비과세 적용 등
'18년 ~ 23년' 한시 운영 수탁은행 방문 접수
(우리, 신한, KB국민, NH농협, 기업, KEB하나, 부산, 대구, 경남)
반응형